본문 바로가기
사설

사설/ ‘표현 자유’ 요구하며 공동대응 나선 영화인들

by 김석종 2015. 3. 30.

사설/ ‘표현 자유’ 요구하며 공동대응 나선 영화인들

 지난 13일 ‘표현의 자유 사수를 위한 범 영화인 대책위원회’(대책위)가 연 긴급 기자회견은 현 정부들어 영화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표현 자유’ 침해의 심각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무려 74개 주요 영화 단체 및 영화제가 동참한 대책위는 이날 “표현의 자유를 훼손하려는 모든 시도를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대책위는 특히 “영화진흥위원회가 아니라 영화침체위원회”라는 말까지 써가며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를 강하게 비판했다.
 영화인들은 그동안 영화제 영화상영등급분류면제추천 규정 개정, 예술·독립영화 전용관 지원사업 방식 변경 등 영진위의 조치들이 영화계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훼손시킬 것이라고 우려하며 반대해왔다. 하지만 영진위가 영화제 상영등급분류 제도가 개정되기도 전에 사실상 사전심의를 해온 것이 드러나면서 집단행동에 나선 것이다. 지난달 열린 ‘으랏차차 독립영화’ 기획전에서 현 정부에 비판적인 <자가당착> 등 3편이 상영되지 못했고,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가 매달 여는 ‘인디애니씨앗터’ 2월 정기상영회가 취소됐다고 한다. 영진위 산하기관인 한국영화아카데미의 졸업영화제도 무기한 연기됐다.
 영진위의 ‘한국예술영화좌석점유율지원사업’ 역시 누가 봐도 예술영화전용관들에 대한 지원제도를 악용해 독립·예술영화를 통제하려는 의도가 분명해 보인다. 대책위는 “이후에도 표현의 자유와 영화 독립성·자율성을 훼손하는 시도가 계속되면 범 문화계, 나아가 범시민 연대를 조직해 싸워나가겠다”고 경고했다. 영화인들이 이처럼 대규모로 공동 대응에 나선 것은 2005∼2006년 스크린쿼터 축소 반대 시위 이후 10년 만이다. 영화계가 최근 상황을 그만큼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의미다.
 영화계가 과거의 권위주의 정권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표현의 자유 침해 문제를 들고나온 현실은 참으로 개탄스럽다. 영화계 주장대로 <자가당착>이나 <다이빙벨>처럼 현 정권에 불편한 영화를 관객과 차단시키고 입맛에 맞는 영화만 지원하려는 발상이라면 더욱 한심하다. 구시대 유물인 사전검열을 부활하려는 시도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대책위는 최근의 사태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청한 상태다. 이제 문화부 장관이 영화인들을 만나 영화를 바롯한 모든 문화예술의 표현 자유를 공개적으로 약속하길 촉구한다.2015.2.16

댓글